≣ 목차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로 인해 서울시는 70세 이상 운전자의 자발적인 면허 반납을 유도하는 ‘면허 반납 어르신 교통카드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면허를 반납한 어르신에게 20만 원이 충전된 교통카드를 지급하며, 교통안전 강화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혜택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신청 대상과 방법, 교통카드 사용처까지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서울시 70세 이상 운전자 면허 반납 교통카드 지원이란?

이 사업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어르신이 운전면허증을 자발적으로 반납할 경우, 대중교통 이용을 돕기 위해 20만 원이 충전된 교통카드(티머니 카드)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19년부터 매년 시행되고 있으며,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최근 들어 면허 반납자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3년에는 28,7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연도별 면허 반납 교통카드 지원 실적
연도 | 반납자 수 |
2019년 | 7,500명 |
2020년 | 17,685명 |
2021년 | 10,710명 |
2022년 | 15,141명 |
2023년 | 28,700명 |
2024년 | 24,950명 |
2. 신청 대상 및 조건은?
✅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70세 이상 운전자
✅ 운전면허증을 자진 반납하는 경우
✅ 면허 반납일과 교통카드 지원 신청일 모두 서울시에 거주해야 함
즉, 면허 반납 시점과 신청 시점에 서울시에 거주 중인 70세 이상 운전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3. 신청 방법과 절차
방문 접수 (거주지 동주민센터)
신청 전 준비물
- 운전면허증
- 본인 신분증
신청 절차
-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 운전면허증 자진 반납
- 즉시 20만 원 충전된 교통카드(티머니) 지급
단, 동주민센터에 교통카드가 소진된 경우에는 경찰서에서 면허 반납 가능하지만, 교통카드는 지급되지 않으므로 사전에 동주민센터에 카드 재고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대리 반납 및 적성검사 기간 내 반납은 경찰서에서 가능합니다.
4. 지원받은 교통카드,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

이 면허 반납 교통카드는 일반 티머니 카드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 즉,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티머니 가맹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사용처
버스 및 택시
- 시내버스 (초록버스, 파랑버스, 노란버스, 빨간버스)
- 마을버스
- 택시
기차 (철도) 사용 가능
-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통근열차
- 단, 코레일 역사 매표창구에서만 결제 가능 (온라인 예매 불가)
편의점 결제 가능
- GS25, CU, 7-ELEVEN, MINISTOP, 이마트24, 스토리웨이
주의할 점!
- 교통카드는 재발급 및 환불이 불가능하므로 분실 시 주의해야 합니다.
- 지하철에서는 요금이 차감되므로, 지하철 무임승차 카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충전금액 소진 후 본인 비용으로 추가 충전 가능 (계속 사용 가능)

5. 글을 마치며
“운전대를 내려놓는 것이 쉬운 결정은 아닙니다.”
오랜 세월 직접 운전해 온 어르신들에게 면허 반납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독립성을 포기하는 느낌이 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통계를 보면 고령 운전자의 사고율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반사 신경과 시력 저하 등으로 인해 운전이 점점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돕기 위한 면허 반납 어르신 교통카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혹시 운전이 부담스럽거나 안전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이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 70세 이상 운전면허 반납 어르신 교통카드 지원 사업
- 신청 대상: 서울시 거주 70세 이상 운전자
- 혜택: 20만 원 충전된 교통카드 제공
- 신청 장소: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 주의 사항: 선착순 지급, 분실 시 재발급 불가
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지금 면허 반납을 고민해 보세요!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총정리 – 직접 해보니 이렇게 쉽습니다!
요즘 지갑을 들고 다니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졌죠? 모바일 결제, 모바일 카드… 이제 신분증도 모바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넣고 다닐 수 있다면 얼마나
hlhd.tistory.com
댓글